건강식품 정보288 골수이식 기증자 후유증 및 부작용 없을까? 골수이식 기증자 선정이 되고 나면 이걸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생전 보지도 못한 사람을 위해서 내 시간을 할애하여 골수를 이식한다는 게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골수이식을 한다고 하더라도 나에게 엄청나게 큰 이익이 주어지는 것도 아니니까요. 나의 선택이 누군가의 생명을 살리는 일이긴 하지만 특히나 두려운 건 골수이식을 하고 나면 부작용이나 후유증이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입니다. 골수이식 기증자가 가질 수 있는 후유증이나 부작용에 대해서 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골수이식의 두 가지 방법 1. 골수 채취 골수 채취는 마취를 하고 나서 골반뼈에서 조혈모세포를 채취하게 됩니다. 골수 채취 시에는 통증이 있지 않지만 마취가 끝난 후에 약간 뻐근할 수.. 2021. 7. 18. 현미밥 부작용, 현미가 독이라고? 최근에 현미밥이 안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현미에는 무슨 독이 있다고 하는데 이게 정확하게 맞는 말일까요? 흰쌀 밥보다는 잡곡밥이나 현미가 좋다고 들어서 현미를 한 포대 사서 먹고 있었는데, 최근에 현미가 몸에 좋지 않다는 말을 들이니까 갑자기 현미를 그만 먹어야 하나 싶었습니다. 그래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현미가 정말 몸에 나쁜 건지 아니면 좋은 건지 현미의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현미란? 현미는 벼를 수확하고 도정을할때 맨 바깥쪽의 왕겨, 즉 겉껍질만 벗겨낸 쌀입니다. 현미에는 쌀겨와 씨눈이 그대로 붙어있게 됩니다. 쌀겨와 씨눈에는 식이섬유를 비롯하여 칼슘, 인, 철분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평소에 식이섬유가 부족한 현대인들이 현미를 먹어주면 각종 영양소를.. 2021. 6. 30. CDR척도란? 치매 증상 정도 중증 치매센터 자료에 의거하면 우리나라 인구 중 60세 이상 국내 치매환자수는 81만 명이라고 합니다.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노인인구가 늘어나고 노년의 기간이 길어지면서 노년에 발생할 수 있는 치매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합니다. 치매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CDR척도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 오늘은 CDR척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치매보험을 가입해야 하는지까지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CDR척도란? 치매보험을 가입하면 CDR척도를 가지고서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CDR척도란 Clinical Dementia Rating의 약자로서 치매상태가 가벼운 상태인지 심각한 상태인지를 분류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CDR척도는 0점부터 5점까지 있습니다. 1점부터 실제 치매로 보며 1점 .. 2021. 6. 17. 간수치가 올라가는 이유, 높아지는 원인 간은 침묵의 장기라고도 불립니다. 간에는 신경세포가 거의 없어서 아파도 통증을 거의 느끼지 않기 때문입니다. 간은 재생능력이 아주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간이 망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몰라서 상태가 아주 심각해진 상태에서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쩌다 건강검진을 받게되면 간수치가 높다고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데 이건 사실 굉장히 심각한 이야기입니다. 간이 그만큼 많이 파괴되었다는 뜻이니까요. 오늘은 간수치가 올라가는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간수치란? 간은 우리 몸에서 여러가지 독소를 해독하고, 또 새로운 효소를 합성하고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의 화학공장과 같은 일을 하고 있죠. 하지만 이러한 여러가지 이유로 간이 파괴되면 간세포 안에 있는 담도계 .. 2021. 6. 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72 다음